심뇌혈관질환 통계

심근경색증

  • 법적근거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9조
  • 작성기관

    질병관리청
  • 통계명 및 승인번호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제177001호
  • 분석대상

    심근경색증(I21~I23)과 뇌졸중(I60∙ I61, I63∙ I64)상병코드로 입원한 환자(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단위:%)

52.6

%
Transparent Map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청, 2023

성별 심근경색 환자 수

(단위:명)

26,553

사람

10,382

사람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단위:%)
시·군 구별
2023
서울특별시
48.4
부산광역시
56.3
대구광역시
54.8
인천광역시
55.3
광주광역시
40.8
대전광역시
53.7
울산광역시
47.4
세종특별자치시
41.7
경기도
48.7
강원특별자치도
51.1
충청북도
57.8
충청남도
47.5
전라북도
54.9
전라남도
51.9
경상북도
53.8
경상남도
55.2
제주특별자치도
71.1
평균
52.6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청, 2023

성별 심근경색 환자 수

(단위:명)
성별
2022
남자
26,533
여자
10,382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연령별 심근경색 환자 수

  • 1세미만
  • 1~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 이상

1

11

34

120

757

3,053

7,006

9,490

8,360

8,130

연령별 심근경색 환자 수

(단위:건)
연령별
전체
1세 미만
1
1~9세
11
10~19세
34
20~29세
120
30~39세
757
40~49세
3,053
50~59세
7,006
60~69세
9,490
70~79세
8,360
80세 이상
8,103
미상
0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시도별 심근경색 환자 수

(단위:건)
7,544
2,510
2,743
1,966
1,890
1,248
469
215
8,126
1,683
843
1,293
1,524
785
1,531
2,023
542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시도별 심근경색 환자 수

(단위:건)
시·군 구별
2022
서울특별시
7,544
부산광역시
2,510
대구광역시
2,743
인천광역시
1,966
광주광역시
1,890
대전광역시
1,248
울산광역시
469
세종특별자치시
215
경기도
8,126
강원특별자치도
1,683
충청북도
843
충청남도
1,293
전라북도
1,524
전라남도
785
경상북도
1,531
경상남도
2,023
제주특별자치도
542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발병 후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현황

(단위:%)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1

발병 후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현황(시도별)

(단위:시간)
  • 제주
  • 경남
  • 경북
  • 전남
  • 전북
  • 충남
  • 충북
  • 강원
  • 경기
  • 세종
  • 울산
  • 대전
  • 광주
  • 인천
  • 대구
  • 부산
  • 서울

2.95

3.94

3.48

3.64

3.61

3.52

3.01

3.86

3.53

3.53

3.29

3.77

3.7

3.47

3.9

3.71

3.76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발병 후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현황

(단위:%)
시간 별
평균
1시간 미만
6,742
18.3
1~2시간 미만
6,556
17.8
2~3시간 미만
3,510
9.5
3~6시간 미만
5,890
13.2
6시간 이상
15,188
40.9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발병 후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현황(시도별)

(단위:시간)
시·군 구별
1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2~3시간 미만
3~6시간 미만
6시간 이상
평균
서울특별시
7,544
1,426
1,205
628
949
3.76
부산광역시
2.510
429
463
219
330
3.71
대구광역시
2,743
423
382
226
363
3.9
인천광역시
1,966
382
426
170
244
3.47
광주광역시
1,890
310
347
198
260
3.7
대전광역시
1,248
223
223
97
142
3.77
울산광역시
469
132
67
44
60
3.29
세종특별자치시
215
43
37
24
30
3.53
경기도
8,126
1,601
1,515
813
1,074
3.53
강원특별자치도
1,683
226
260
194
272
3.86
충청북도
843
129
311
69
112
3.01
충청남도
1,293
274
216
126
184
3.52
전라북도
1,524
289
255
151
187
3.61
전라남도
785
112
164
98
106
3.64
경상북도
1,531
308
268
184
206
3.48
경상남도
2,023
295
300
209
295
3.94
제주특별자치도
542
146
117
60
76
2.95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심근경색 환자의 응급실 내원수단 순위

(단위:건)
  • 119 구급차
  • 기타 자동차
  • 기타 구급차
  • 의료기관 구급차
  • 도보

15,502

14,806

4,508

1,487

399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시도별 심근경색 환자의 응급실 내원수단 (1위)

(단위:%)
지도
  • 119 구급차

    : 서울, 대구, 세종, 강원, 전북, 전남

  • 기타자동차

    : 부산, 인천, 대전, 울산,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제주

  • 의료기관 구급차

    : 광주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심근경색 환자의 응급실 내원수단 순위

(단위:건)
119구급차
의료기관 구급차
기타 구급자
기타 자동차
도보
15,502
1,487
4,508
14,806
399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발병 후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현황(시도별)

(단위:시간)
시·군 구별
119구급차
의료기관 구급차
기타 구급자
기타 자동차
도보
서울특별시
3,313
48
674
3,404
81
부산광역시
1,127
13
417
924
18
대구광역시
998
463
154
1,105
16
인천광역시
892
20
204
830
4
광주광역시
494
604
307
361
114
대전광역시
602
55
79
505
2
울산광역시
199
6
109
145
7
세종특별자치시
90
5
22
98
-
경기도
3,615
66
837
3,450
128
강원특별자치도
615
28
372
642
2
충청북도
388
21
86
342
5
충청남도
582
15
222
452
-
전라북도
613
38
212
615
9
전라남도
283
22
140
323
2
경상북도
650
14
227
617
2
경상남도
772
37
435
768
8
제주특별자치도
269
32
11
225
1

「응급의료현황통계」 국립중앙의료원, 2022

심근경색증 발생률

(단위:명/10만명당)

67.4

인구 10만명당

Transparent Map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심근경색증 발생률 추이

(단위:건/10만명당)
65.7
68.3
66.3
67.4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심근경색증 발생률

(단위:명/10만명당)
남자
여자
평균
99.4
35.6
67.4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심근경색증 발생률 추이

(단위:건/10만명당)
2018
2019
2020
2021
65.7
68.3
66.3
67.4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연도별 심근경색증 발생 건수 추이

(단위:건)
33,071
35,072
34,045
34,612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연령별 심근경색증 발생 건수 추이

(단위:건)
  • 80세 이상
  • 70~79세
  • 60~69세
  • 50~59세
  • 40~49세
  • 30~39세
  • 20~29세
  • 0~19세

6,894

7,870

9,501

6,907

2,751

621

61

7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심근경색증 발생 건수 추이

(년도별/단위:건)
2018
2019
2020
2021
33,701
35,072
34,045
34,612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심근경색증 발생 건수 추이

(연령별/단위:건)
연령별
건 수
0-19세
7
20-29세
61
30-39세
621
40-49세
2,751
50-59세
6,907
60-69세
9,501
70-79세
7,870
80세 이상
6,894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심근경색증 재발생율

(단위:%)
  • 80세 이상
  • 70~79세
  • 60~69세
  • 50~59세
  • 40~49세
  • 30~39세
  • 20~29세
  • 0~19세

9.99

2.73

11.80

9.69

6.34

3.50

3.39

0.00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심근경색증 재발행률 추이

(단위:%)
9.3
9.8
9.6
10.7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심근경색증 재발생율

(단위:%)
연령별
평균
0-19세
0.00
20-29세
3.39
30-39세
3.50
40-49세
6.34
50-59세
9.69
60-69세
11.80
70-79세
12.73
80세 이상
9.99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 2021

뇌졸중 재발행률 추이

(단위:%)
2018
2019
2020
2021
9.32
9.79
9.59
10.66

「심뇌혈관질환발생통계」 질병관리청